한국18세기영문학회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검색어
필수
회원가입
로그인
사이트맵
메인메뉴
학회소개
학회소개
회장인사말
학회연혁
역대임원단
현임원단
회칙및규정
학회가입
온라인회원가입
정회원(개인)가입
도서관회원(단체)가입
준회원가입
현회원명단
학회지
편집위원회
투고심사발간규정
논문투고안내
Call for Papers
학회지원문
학회활동
학술대회
대회발표논문
학회갤러리
커뮤니티
공지사항
자유게시판
추천사이트
회원로그인
회원아이디
필수
비밀번호
필수
회원가입
정보찾기
자동로그인
한국18세기영문학회
Home > 학회지 >
논문투안내
투고신서 다운로드
1. 논문의 투고자격은 한18세기영문학회의 회원을 원칙으로 하지만, 특한 경우에 편집회의를 거쳐서 비회원에게 논문을 청탁할 수 있으며, 또한 비회원도 논문을 투할 수 있다. 2 논문의 격은 연구논문으로 한하며, 이미 출판되지 않은 것을 원칙으로 한다. 왕정복고기와 18세기 영학을 대상으로 하되, 접분야의 영문학을 다 연구논문도 게재할 수 있다. 3. 투고자는 <투고신청서>와 함께 투고논을 학회지 이메일 계정 18cenglit@gmail.com에 온라인 접수한다. 논문 심사의 공정성을 위해 필자 이 및 소속, 연구비 수혜 부 등에 대한 정보는 고논문에 표기하지 않다. 투고논문은 학회홈이지에 게시된 <원고작성요령>을 준수해야 한. 논문제출시 한국연구단 한국학술지인용색(http://www.kci.go.kr)의 'KCI 문헌유사도 검사 종합결과 확인서' 또는 카피킬(http://copykiller.com)에서 제공하는 '표절검사 결 확인서'중 하나를 함께 제출해야 한다. 첨부하 않을 경우 학회에서 헌유사도를 실시하는 에 동의하는 것으로 간한다. 4. 투고된 논문 3인의 심사위원이 심사하여, 결과를 '게재', '수정 후 게재', '수정 후 재검토', '게재 불가'로 구하여 '수정 후 게재' 이상의 판정을 받은 논문 해당 호에 게재한다. 3의 편집위원 중 2인 이이 '수정 후 게재' 이상의 판정을 내리면 심사 통과, 게재되는 것으로 한다. 단 '수정 후 게재'의 경우 게재 판정은 만할 만한 수정을 조건으로 한 것이니만큼 수정 만족스럽지 않을 경우 편집위원회는 논문을 채택하지 않을 수 있다.
[18세기영문학] 원고작요령 I. 기본형식 1. 논문원고는 한글 또는 영로 작성한다. 원고는 (1) 제목 (2) 필자명(소속, 위) (3) 본문 (4) 인용문 (5) 영어초록 (6) 영어 Key Words의 순서로 작성한. (단, 투고논문에는 필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지 않는다.) 2. 연구비 원내역 등은 논문 1면 단에 주석을 만들어 표한다. 영어초록에는 논문제목과 필자명(소속) 반드시 영어로 기입한. 3. 공동저술인 경우 제1저자의 이름을 먼저 표기하고, 공동저자의 름은 논문에 기여한 정도에 따라 순서대로 표한다. 4. 한글논문의 경우 제목에는 원문을 병하지 않는다. 그 대신 문에서 처음 언급될 때 원문을 병기한다. 5. 원의 분량은 200자 원고지 기준 120매 내외로 한다. 영문초록은 250~350 단어 내외로 작성하고 5~10개 Key Words를 같이 제출한. 최종논문 제출시 영초록에 논문제목과 필명(소속, 직위)를 영문로 기입한다. 6. 한글, 문논문 모두 한글(HWP)로그램으로 작성한다. (신명조, 글자크기 10, 줄격 160). 따옴표를 사용 경우, 본문과 인용문 모두에서 영문체 따옴(" ")가 아닌 한글체 따표(“ ”)를 사용한다. (어포스트로피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 7. 주가 필요한 경우 미주가 아 각주의 형식으로 작성한다. 8. 외국어 우리말 표기는 다음과 같은 원에 따른다. (1) 경음의 우 소리나는 대로 표기한다. <예> 빠리, 싸우 (2) 본문에 나오는 영 등 외국어로 된 인명나 글 이름, 책제목은 글 표기를 먼저 하고 원어는 괄호 안에 넣어 처한다. <예> ?알뛰쎄의 맑스주의?(“Althusser’s Marxism”), ??여성과 혁명??(Women and Revolution) (3) 인명이 처음 나올 때 괄호 안에 원어 이름과 성을 두 표기해주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예> 그핀(Dustin H. Griffin) 9. 직인용을 할 경우, 국문역과 영어원문을 병기다. 단 국문논문 작성시, 일차문헌(primary materials)이 아니고 이차문헌(secondary materials)을 직접인용할 경우는 국문번역만을 제시한다. 10. 인용은 MLA 스타일, 즉 인용할 때다 괄호 안에 간략한 서지사항을 기록하고(parenthetical citation), 완전한 서지정보는 논문 뒤에 수한 “인용문헌”(Works Cited)에서 제공하는 방식 따른다. MLA 스타일의 례는 아래 “인용하는 ”과 “인용문헌(Works Cited) 만드는 법”을 참조한다. II. 제목 표기와 용부호 1. 책이나 기타 독립된 출판물의 제목을 표시할 때는 영어일 경 이탤릭체를 사용하고 국문일 경우 ??겹낫표?? 사용한다. 단, 영화 제을 표시할 경우는 국문의 경우는
영문의 경우는 이탤릭를 사용한다. 다른 책나 작품의 일부로 포함 출판물(예컨대 단편소설이나 짧은 시, 책의 챕터)의 영문 제목은 “겹옴표”로 표시하고, 국문 제목은 ?홑낫표?로 표시한다. 2. 영어 제목은 다음 원칙에 따라 첫 글에 대문자를 사용한다. (1) 제목의 첫 단어와 끝 단어는 첫 글자에 대문를 사용한다. (2) 주요 사(명사, 형용사, 동사, 부사, 대명사)는 첫 글에 대문자를 사용한다. (3) 나머지 품사는 대문를 사용하지 않는다. (3) 원칙상 첫 글자에 대문를 사용하지 않는 품사라도 2음절 이상인 경우 필자의 판단에 따라 문자를 사용할 수 있다. 3. 원문을 직접 인용할 경우 “겹따옴표”를 사용하고, ‘홑따옴표’는 작은따옴표(즉 따옴표 의 따옴표)의 의미 혹 강조의 목적으로만 사한다. 영어의 경우 강는 이탤릭체로 표시한. III. 인용하는 법 1. 간접적으로 인용을 한 에는 가능한 한 가까운 곳(특별한 이유가 없으 인용문 혹은 인용이 함된 문장의 끝)에 괄호를 만들어 그 안에 저자(경우에 따라서는 편자 은 역자)의 이름(외국 자인 경우 성, 국내 저인 경우 성명)과 쪽수를 기입한다. <예1> 이 여부에서 광기가 뇌에 있 과다한 증기와 자신의 의견에 대한 지나친 집에서 나온다고 정의하 그 방례로서 피터와 을 듦으로써, 스위프트 “정통성, 이성, 그리 상식을 가지고 평화롭게 살지 못하고 자신들 다른 사람들에게 위험고 이득도 없는 새로운 사유를 고집하는 사람을 설명하는 데에는 결 광기밖에 없다”는 명제를 주장하고 있는 것다(Ehrenpreis 224). <예2> 수행적 모순’(performative contradiction)이란 “어떤 진술이 그것이 주장하 명제와 모순되는 비우적 전제에 기초할 때 생”한다(하버마스 126). <예3> To be on the side of Nature was to have sympathy for the poor, to feel disgust towards a corrupt and selfish oligarchy that controlled the nation through its commercial interests, and to be reform-minded because “Nature decreed equality” (Schama 18). 단, 영어의 경우 국문과 달리 본문과 괄호 사이에 빈칸을 두는 에 유의한다. 2. 저자 이름이 본문 중에 언급되어 오해의 소지가 없 경우는 괄호 안에 저자 이름 없이 쪽수만 쓰면 된다. <예> Colin Nicholson reads Gulliver’s change in dimension, from giant to pygmy, “as a defining trope for the monetary dispositions visibly extending property-ownership and wealth-acquisition by which perceptions of individual worth came to be measured by the rise and fall of the stock market” (10). 3. 한 저자의 글을 두 편 이상 인용한 경우는 괄호 에 저자의 이름과 함께 인용한 글의 줄인 제목 써주어야 한다. 줄인 목을 쓸 때 관사는 일적으로 생략한다. <예> Thirteenth-century prose romances expanded their length and scope almost indefinitely through the process of coalescence and the technique of entrelacement (Vinaver, Rise of Romance 54-56, 69-98). 이때 구두점에 주의하여야 한다. 저자와 쪽, 제목과 쪽수 사이에 구두점을 찍지 않지만, 저자와 제목 사이에는 드시 쉼표를 넣는다. 4. 인용할 구절이 길 경우에는 독립된 인용(block quotation)을 사용한다. 즉 음과 같이 들여 써서 독립된 문단으로 인용한다. 단, 왼쪽 여백은 본문 문단 첫줄에서 들여쓰 한 폭의 두 배 정도로 설정해, 인용부와 문단 시작하는 부분이 혼동지 않도록 한다. 들여 것 자체가 인용문임을 표시하는 장치이므로 옴표는 따로 붙이지 않다. <예1> 모레띠(Moretti)는 플로베르(Flaubert) ??감정교육??(Sentimental Education)을 다음과 같이 단한다. 만약 젊음이 ‘그냥 그대로’ 있고자 망할 뿐이라면, 그래서 계속 젊음으로서 보존되고자 한다면 이제 교양설에 대한 진정한 요구 없다. 간결하며 냉정고도 분명하게 ??감정교육??은 한 세기 동안 이져온 서사적 시도에 종을 선언한다. 마치 더 상 자기 역할에 아무런 관심도 없다는 듯 공연는 너무도 가짜 같은 물들, 이전 소설들에서 떨어진 조각들을 함께 여놓은 듯 싶기까지 한 모방적인 플롯, 한때 문적이고 생생했던 것이 상투적인 표현의 진부한 확실성 안에 갇혀버린 을 한 대화, 이는 모두 한 문학 장르가 죽어가 있으며 하나의 구조가 더 이상 제 모습을 유지지 못한다는 신호인 것이다. (177) 하지만 이러 진단은 ??감정교육??의 주인공이 사회적 성숙 ‘실패’했다는 것과 다른 이야기이다. <예2> As Friedberg explains, the archetypal Baudelairean modern is always at home in the urban space: To be away from home, and yet to feel at home; to behold the world, to be in the midst of the world and yet to remain hidden from the world―these are some of the minor pleasures of such independent, impassioned and impartial spirits, whom words can only clumsily describe. (29) 이 마침표의 위치에 주의한다. 본문의 일부로 인하는 경우는 앞 단어에 붙여 괄호 안에 서지사을 기입한 후 마침표를 찍는 것이 원칙이지만, 독립된 인용의 경우는 저 마침표를 찍고 한 칸 뗀 후 서지사항을 기입다. 영어의 경우 인용 유도하는 문장 끝에 콜론(colon)을 붙이는 것에 유의한다. 5. 텍스트를 인용하는 경우는 상황 맞게 (저자, 제목 쪽수), (제목 쪽수), 혹은 (쪽)의 형식으로 서지사항 기입한다. <예> ??주홍 연구??에서 왓슨(Watson)은 홈즈(Holmes)가 정치에 관해 “빈약한” 지식을 가졌다고 분석했지만(12), 그의 추리방식과 상대의 특성을 통해 알 수 있듯 실상 홈즈는 도일(Doyle)의 정치적 이데올로기 무장한 존재였다. 위 문장의 경우는 앞부분에서 인용을 하고 뒷부분서 인용한 내용과 다른 주장을 펴기 때문에 문 끝이 아닌 문장 중간의 휴지부에 서지사항을 입하는 것이 바람직하. 문장 중에 저자와 제이 모두 명기되었으므, 괄호 안에는 물론 쪽만 기입하면 된다. 6. 문을 인용하는 경우는 수 대신 행수를 기입한다. 독립된 인용을 하지 않고 문단의 일부로 인하는 경우는 행과 행을 사선(slash, stroke)으로 구한다. <예1> Overlooking the swarming pagan host from a hilltop at Roncevaux, Roland eloquently addresses the duty of vassalage to his companions: “For his lord a vassal must suffer hardships / And endure great heat and great cold; / And he must lose both hair and hide” (Song of Roland 1010-12). 운문으로 씌어진 희곡을 인용하는 경우에는 괄호 안에 막, 장, 행수를 기입한다. 컨대 셰익스피어의 ??오셀로?? 5막 2장 40행에서 42행까지를 인용한다면, 음과 같이 간략 서지사항을 기입할 수 있다. <2> 데스데모나가 죽야하는 이유는 오셀로 데스데모나의 대화를 해서 암시된다. 오셀. 당신 죄를 생각해 보오. 데스데모나. 죄가 다면 그건 당신에 대한 제 사랑이 죄죠. 오셀로. 좋아, 그렇다면 그것 때문에 당신은 죽는 거야. OTHELLO. Think on thy sins. DESDEMONA. They are the loves I bear to you. OTHELLO. Ay, and for that thou diest. (Othello 5.2.42-44) 죽음을 맞이하는 데데모나의 무기력함과 동성을 강조하는 비평도 있지만, 위의 대사 살펴보면 그녀가 아무 깨달음이 없이 순순히 죽음을 맞이하는 것이 님을 알 수 있다. 산문 희곡의 경우는 쪽수만 입하면 된다. IV. 인용헌(Works Cited) 만드는 법 “인용문헌” 혹은 “Works Cited”는 국문문헌, 어문헌의 순으로 정리다. 국문문헌은 저자의 성명에 따라 가나다순로, 영어문헌은 저자의 성에 따라 알파벳순으로 수록한다. 개개의 인용문헌은 다음과 같은 원에 따라 작성하되, 개개의 정보가 하나의 독립 문장으로 간주된다는 , 따라서 모든 문장이 러하듯 대문자로 시작고(영어의 경우) 마침로 끝난다는 것을 주지다. 아울러 띄어쓰기와 구두점에 유의한다. 개개의 인용문헌은 문단과 달리 들여 쓰지 않고 내어 씀에 유의한다. 1. 책 인용문헌에 책을 수록할 때는 해당 서지사항을 음 순서로 적는다. 이 구두점과 띄어쓰기에 의한다. 저자. 제목. 자 혹은 역자. 판본. 권(여러 권으로 된 책인 우). 출판지: 출판사, 판연도. 일체의 출판정보(출판지, 출판사, 출판연도)는 판권지(copyright page)에서 찾을 수 있다. 권지는 영어 책의 경우 통상 속표지 뒷장에, 국 책의 경우 주로 책의 뒷장에 위치한다. 출지는 책이 출판된 도시 뜻하는 것이며, 국내서 출판된 책의 경우는 따로 적지 않는다. 출판도는 판권년도(copyright date) 즉 판권지에서 ⓒ 에 적힌 연도를 적는다. (1) 단일저자의 책 Wilson, Frank R. The Hand: How Its use Shapes the Brain, Language, and Human Culture. New York: Pantheon, 1998. (2) 저자가 2인 상인 책 Eggins, Suzanne, and Dianne Slade. Analyzing Casual Conversation. London: Cassell, 1997. (3) 동일저자가 쓴 2 이상의 책 Gibert, Sandra M. Emily’s Bread: Poems. New York: Norton, 1984. . Ghost Volcano: Poems. New York: Norton, 1995. (4) Anthology 다수의 저자가 쓴 글들을 모은 앤쏠로지(anthology)는 저의 이름 대신 편자의 이름으로 분류한다. McRae, Murdo William, ed. The Literature of Science: Perspectives on Popular Science Writing. Athens: U of Georgia P, 1993. (5) Edition Crane, Stephen. The Red Badge of Courage. Ed. Fredson Bowers. Charlottesville: UP of Virginia, 1975. Rossetti, Christina. Selected Prose of Christina Rossetti. Ed. David A. Kent and P. G. Stanwood. New York: St. Martins, 1998. (6) 번역본 제임스 이스. [젊은 예술가의 상]. 이상옥 옮김. 민음, 2001. Dostoevsky, Feodor. Crime and Punishment. Trans. Jessie Coulson. Ed. George Gibian. New York: Norton, 1964. (7) 여 권으로 된 책 영미문학연구회 엮음. [영미문학 길잡이]. 전2권. 창비, 2001. Doyle, Arthur Conan. The Oxford Sherlock Holmes. Ed. Owen Dudley Edwards. 9 vols. New York: Oxford UP, 1993. (8) 저자 편자가 명기되지 않은 책 저자나 편자가 명기지 않은 책은 제목으로 분류한다. <예> New York Public Library American History Desk Reference. New York: Macmillan, 1997. 2. 책에 실린 글 자. 글의 제목. 책의 제목. 편자 혹은 역자. 판. 권수(여러 권으로 된 인 경우).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쪽수. <예> 한기욱. [로런스의 미국문학론에 대한 체험적 찰]. [지구화시대의 영학]. 설준규, 김명환 엮. 창비, 2004년. 507-31. More, Hannah. “The Black Slave Trade: A Poem.” British Women Poets of the Romantic Era. Ed. Paula R. Feldman. Baltimore: Johns Hopkins UP, 1997. 472-82. 3. 기간행물에 실린 글 저. 글의 제목. 간행물의 제목. 권ㆍ호수 및 출판월일: 쪽수. (1) 연간지/반년간지/계간지에 실 글 양석원. ?미국의 인 이데올로기와 인디언 문학적 재현: [최후의 모히칸족]과 [호보목]. [어영문학] 47.3 (2001): 713-33. Vickery, Laurie. “The Politics of Abuse: The Traumatized Child in Toni Morrison and Marguerite Duras.” Mosaic 29.2 (1996): 91-109. (2) 월간지에 린 글 Amelar, Sarah. “Restoration on 42nd Street.” Architecture Mar. 1998: 146-50. (3) 간지/격주간지에 실린 글 정한석. [합체하여 화합하라: 내셔널 시네마 한국영화를 재해석하 이유]. [씨네21] 2004.4.27: 66-68. Mehta, Pratap Bhanu. “Exploding Myths.” New Republic 6 June 1998: 17-19. (4) 신문기사 이진영. [문화부 “외주전문 문화채널” 다시 논란]. [동아일보] 2004.4.29: A5. Manning, Anita. “Curriculum Battles from Left and Right.” USA Today 2 Mar. 1994: D5. Lohr, Steve. “Now Playing: Babes in Cyberspace.” New York Times 3 Apr. 1998, late ed.: C1+. 4. 학위논문 저자. 논문 제목. 학위구분. 수여기관, 학위수여년도. <> 유희석. 'The Portrait of a Lady와 Adventures of Huckleberry Finn 비교연구: 19세기 민문학 전통의 계승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 서울대학교, 2001. Boyle, Anthony T. “The Epistemological Evolution of Renaissance Utopian Literature, 1516-1657.” Diss. New York U, 1983. 5. 영화 영화 제목. 감독. 출연우. 배급사, 배급연도. <예> <박하사탕>. 이창동 감독. 설경구, 문소리, 여진 출연. 신도필름, 1999. Modern Times. Dir. Charles Chaplin. Perf. Charles Chaplin and Paulette Goddard. United Artist, 1936. 6. 인터넷 자료 (자.) 글의 제목. 웹사이트의 이름. (제작연도.) 작자 혹은 제작기관. 속일
. (1) 웹사이트 The Camelot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Rochester. U of Rochester. 11 Apr. 2004
. (2) 웹사이트에 실 글 성은애. ?<송환>: “양의 아들들”을 떠나내고?. 영미문학연구회 홈페이지. 2004. 영미문연구회. 2004.4.29
. “1794-1795.” Romantic Chronology. U of California, Santa Barbara. 11 Apr. 2004
. 7. 우리말 논문의 예 데니스, 버크, 그리고 의 ‘숭고미’ 개념: 영국 18세기의 비평적 방법들에 대한 논의 에드워 영(Edward Young) 이전의 부분의 비평가들은 예가에 의해 창조되는 것으로서의 예술보다는 관람자에게 영향을 주는 술에 더 관심이 있었다. 다른 말로 하면, 천재성이라는 주제는 예술가의 창조적인 과정이나 그 연상적 과정보다는 감하는 천재성이라는 측에서 더 자주 인용되었다. 그러나 표현주의 기의 비평가는 예술을 완전히 다르게 보았다. 그에게 예술은 예술가의 느낌의 표현이고 내밀한 성격의 분출과 창조적 리고 때로는 도덕적 본성에 대한 통찰력의 표으로 간주되었다. 예술 대한 이러한 태도는 술을 만들 수 있는 예술가(천재) 안의 특성들을 정의하는 데 비평적 관의 결과였다(Abrams 21). 래서 영은 어떤 의미에, 모방적이고 실용적인 해석을 표현주의적인 석으로 대치시켰다. 그서 윔셋(W. K. Wimsatt)은 “18세기 영국에서 나타 독창적 천재에 대한 기누스의 철학에서 가 인용할 만한 표현은 ??창적 작문에 대한 논의들??이라는 제목의 논문었다”(288)고 말했다. [중략] 영은 로크(John Locke)의 연상 심리학과 다른 전통을 가져왔다. 그리 동시에 그는 예술과 창조성에 대한 고전적 해을 거부했다. 영의 ??독적 작문에 대한 논의들??(Conjectures on Original Composition)에는 애디슨(Joseph Addison)과 섀프츠베리(Earl of Shaftesbury)에게서 받은 영향이 나타나고 동시에 더프(William Duff)와 블레크(William Blake)를 예견는 어떤 요소들이 있다. 그의 내부 지향, 자아추구 비평에 대해, 영은 다음과 같이 쓰고 있다. 람들이 자신의 능력에 해 잘 모른다는 것은 명하기 때문에 . . . 나 '윤리학'에서 두 가지 금률을 빌리겠다. 그것은 인생에 대해서만큼 쓰기에도 귀한 규칙이. 1. 너 자신을 알라 2. 자신을 존중하라. Since it is plain that men may be strangers to their own abilities . . . I borrow two golden rules from Ethics, which are no less golden in composition, than in life. 1. Know Thyself, 2. Reverence Thyself. (417) 8. 영어논문 예 Rewriting the Country-House and Domestic Ideals: Sarah Scott’s Millenium Hall The eighteenth century abounds in novels that celebrate the domestic sphere, and Christine Rees notes a strong utopian impulse in such novels, which she calls a “domestic utopia,” a vision of an ideal life based on private life of a household, family or a community (178). Such utopias seemingly celebrate the domestic woman, who appears to enjoy a new degree of authority and centrality (Armstrong 3). This, however, is true to a limited extent only, and what Kari Boyd McBride says about gender in the country-house discourse largely holds true of the domestic ideal found in the novels. . . . This secondary condition is well revealed in Richardson’s Sir Charles Grandison when Harriet, Grandison’s future bride, is taken to Grandison Hall. Gazing upon the portraits of the long line of Grandison ancestors, Harriet utters in awe: “And will mine, one day, thought I, be allowed a place among them . . . ?” (278). The story of Mrs. Morgan reiterates the earlier part of the plot of Clarissa. Jane Austen’s Charlotte Lucas may call marriage “the only honourable provision for well-educated young women of small fortune” (Pride and Prejudice 86). . . . It is this aspect of the novel which has made some critics put Millenium Hall along with other “lesbian narratives.” George Haggerty writes: I call Millenium Hall a lesbian narrative because it insists on intimate relations between women as an alternative to the male-centered experience of marriage. At every point in the narration when a patriarchal resolution would be possible, Scott offers an alternative in female terms that rewrites the narrative from the position of difference. (119) 9. 인용문헌의 예 인 용 문 헌 김일영. ?필딩의 “새로운 글쓰기”와 이중적 재현―??조셉 앤드즈??를 중심으로?. ??영영문학?? 49.3 (2003): 627-49. Beasley, Jerry C. “Romance and the ‘New’ Novels of Richardson, Fielding, and Smollett. SEL 16.4 (1976): 437-50. Fielding, Henry. The History of Tom Jones. Ed. Fredson Bowers. Middleton: Wesleyan UP, 1975. ___. Joseph Andrews. Ed. Martin C. Battestin. Middleton: Wesleyan UP, 1967. Irwin, Michael. Henry Fielding: The Tentative Realist. Oxford: Clarendon, 1967. Lynch, James J. Henry Fielding and the Heliodoran Novel. London and Toronto: Associated UP, 1986. Trainor, Charles. “Fielding’s Novels: The Transformation of Drama.” Greyfriar 2.1 (1986): 22-30. McCrea, Brian. “Romances, Newspapers, and the Style of Fieldings True History.” SEL 21.4 (1981): 471-80. Mckeon, Michael. The Origins of the English Novel 1600-1740. Baltimore and London: Johns Hopkins UP, 1987. Miller, Henry Knight. Henry Fielding’s Tom Jones and the Romance Tradition. Victoria, BC: U of Victoria P, 1976. Park, William. “What Was New about the ‘New Species of Writing?’” Studies in the Novel 2.1 (1970): 112-27. Rosengarten, Richard A. Henry Fielding and the Narration of Providence. Hampshire: Palgrave, 2000. Watt, Ian. The Rise of the Novel. Berkeley and Los Angeles: U of California P, 1957.
논의 게재료, 별쇄본 1. [18세기영문학]에 게재되 논문에 대해서는 논문필자로부터 게재료를 받으며 게재료는 다음의 칙을 따른다. (1) 연구비 지원 : 30면까지 35만원, 30면 초과시 1면당 15,000 (2) 연구비 비지원 : 30까지 20만원, 30면 초과 1면당 10,000원 2. 논문 별쇄본은 별도부담 없 필자에게 제공한다.
학회소개
학회가입
커뮤니티
Copyright ©
한국18세기영문학회(ECEL).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