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6 |
2017 14-2 김성중, 셸리의 <풀려난 프로메테우스>: 필연성과 사랑
 |
관리자 |
11-28 |
581 |
175 |
2017 14-2 류혜원, <메리 프리쓰의 생애와 죽음>을 통해 살펴본 런던 거리의 여자들
 |
관리자 |
11-28 |
461 |
174 |
2017 14-2 오봉희, 애도와 정의의 뫼비우스 띠: 셸리의 <프랑켄슈타인>*
 |
관리자 |
11-28 |
521 |
173 |
2017 14-2 전인한, 시장에서 태어난 신사: ‘전업 작가’ 알렉산더 포우프의 자기모순
 |
관리자 |
11-28 |
454 |
172 |
2017 14-2 이시연, (Un)dreaming the Celestial New World in The B…
 |
관리자 |
11-28 |
406 |
171 |
2017 14-2 신양숙, Wordsworth and Modernity
 |
관리자 |
11-28 |
493 |
170 |
2017 14-2 원영선, Literary Wars on the Bookshelf: Women Authors…
 |
관리자 |
11-28 |
506 |
169 |
2017 14-1 김재오, “마음에서 벼린 사슬”: 윌리엄 블레이크 시에서의 자유와 이데올로기 문제
 |
관리자 |
06-02 |
780 |
168 |
2017 14-1 박재영, 저작권료에 대한 바이런의 태도 변화
 |
관리자 |
06-02 |
850 |
167 |
2017 14-1 이혜수, <오루노코>와 아프라 벤의 작가성
 |
관리자 |
06-02 |
991 |
166 |
2017 14-1 하인혜, “[A]mongst this miscellaneous multitude”:The …
 |
관리자 |
06-02 |
799 |
165 |
2017 14-1 임재인, Tracing the Oriental Origin of Gothic Fiction…
 |
관리자 |
06-02 |
811 |
164 |
2017 14-1 문희경, Continuing the “Tradition”: Early Women’s Uto…
 |
관리자 |
06-02 |
778 |
163 |
2016 13-2 민병천, 공화주의 사상의 변용적 계승으로서의 낭만주의 시론: 셸리의 <시의 옹호>를 중심으…
 |
관리자 |
11-30 |
1157 |
162 |
2016 13-2 이혜수, 걸리버의 광기: 멜랑꼴리적 주체와 <걸리버 여행기>
 |
관리자 |
11-30 |
1286 |